인공위성 (잔해,낙하,영어로,파편,추락,위치,실시간,보상)

프롬스의 최근 화제

인공위성.

인공위성.

태양계 천문학·행성 과학 Solar System Astronomy·Planetary Science태양계 태양 광선·태양 상수, 흑점(배브콕 모형)·백반·프로미낭스·플레어, 코로나, 태양풍·태양권 지구 구형론(지구 타원체)·우주 방사선·지구 자기장(차 북쪽·다이나모 이론·오로라…반 앨런대·데링쟈ー 현상·지구 자기 역전·지자기 폭풍)달빛·Earthrise·만 지구 구조·슈퍼 문·블루 문의 월석(타이라 월석 한달 돌의 월 돌의 균형)주기 소행 성체 소행성( 근지구 천체·토리노 척도·트로이군)·왜혹 별(플루트 이드)·혜성(크로이츠 혜성 혜성 군)유성 정점시률·유성우, 화구, 운석(크레이터·천체 충돌)우주 탐사 심우주·우주선(유인 우주선·탐사선, 인공 위성)·지구 저궤도·정지 궤도·호ー망 전이 궤도·스윙 바이…오 벨트 효과·솔라 세일 관련 가설 혹은 음모론 지구 평활·지구 공동설·티우스-보데 법칙, 제9행성(발칸=티케=기본 행성)니비시스 가설·외계 위성)·반사율·계절·행성 정렬·극점 우주 생물학 고른 락스 존·외계인·드레이크 방정식·우주 문명의 척도(칼다쇼후 척도)·인류 원리·페르미 역설, SETI프로젝트·골든 레코드…아레 시보 메시지(글쓰기)·어둠의 숲 가설·대 과학·범위:항성 및 은하 천문학 관련 정보

태양계 천문학·행성 과학 Solar System Astronomy·Planetary Science태양계 태양 광선·태양 상수, 흑점(배브콕 모형)·백반·프로미낭스·플레어, 코로나, 태양풍·태양권 지구 구형론(지구 타원체)·우주 방사선·지구 자기장(차 북쪽·다이나모 이론·오로라…반 앨런대·데링쟈ー 현상·지구 자기 역전·지자기 폭풍)달빛·Earthrise·만 지구 구조·슈퍼 문·블루 문의 월석(타이라 월석 한달 돌의 월 돌의 균형)주기 소행 성체 소행성( 근지구 천체·토리노 척도·트로이군)·왜혹 별(플루트 이드)·혜성(크로이츠 혜성 혜성 군)유성 정점시률·유성우, 화구, 운석(크레이터·천체 충돌)우주 탐사 심우주·우주선(유인 우주선·탐사선, 인공 위성)·지구 저궤도·정지 궤도·호ー망 전이 궤도·스윙 바이…오베르트효과·솔라세일 관련 가설 혹은 음모론 지구평활·지구공동설·티우스-보데법칙·제9행성(발칸=티케=기본행성) 니비시스가설·외계위성)·반사율·계절·행성정렬·극점우주생물학 골디럭스존·외계인·드레이크방정식·우주문명의 척도(카르다쇼프척도) ·인류원리 ·페르미파라독스 ·SETI프로젝트 ·골든레시보메세지(쓰기) ·어둠의 숲가설 ·대과학 ·범위 : 항성 및 은하천문학 관련 정보

1. 개요

1. 개요

최초의 인공 위성인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1957)인류 사상 최대의 우주 비행 단체인 인공 위성인 국제 우주 정거장(1998~)인공 위성(artificial satellite)은 우주에서 천체 주위를 돌게 만든 인공 구조물이다.

인류가 만들어 낸 가장 기초적인 우주선인 현재 발사되는 모든 인공 위성의 99%는 지구 주변을 돌고 있다.

인공 위성의 내부 구조는 쉽게 추진 체, 컴퓨터 장비, 전기 공급, 골격 등으로 나뉜다.

유사하지만 대립되는 개념으로 탐사선이 있다.

탐사선은 인공 위성처럼 천체 주변을 도는 것이 아니라 깊은 우주 공간으로 항해하고 각종 과학 임무를 수행하는 데 초점을 둔 무인 우주선이다.

밤하늘에 유난히 밝은 별이 보이고”별이 정말 밝은 ” 하면”그것 인공 위성이다” 같은 방식으로 받는 경우가 은근히 많지만 실제로는 거의 목성, 금성, 화성 혹은 평범한 1등성인 확률이 높다.

대부분의 인공 위성은 겉보기 밝기가 가까운 행성들과 1등성보다 훨씬 어둡다.

물론 그 같은 천체와 달리 지구에 아주 근처에는 없으나 우주적인 관점에서도 가까운 것이지 정지 궤도 인공 위성과 지구 사이에는 지구가 3개 정도 들어간다.

그 거리에서 어느 정도의 행성 정도의 밝기가 나가서는 못해도 지름 수백 km의 크기가 되어야 한다.

극궤도 위성의 경우는 훨씬 가깝지만 이쪽은 보통 하루에 수십번씩 지구를 감도는 때문에 천구상에서 일반성처럼 가만히 있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2. 역사

2. 역사

최초의 인공 위성은 1957년 10월 4일 발사된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이때까지는, 그저 우주에 무언가를 터뜨렸다는 사실만으로 상대(미국)에 충격과 공포를 주기 위한 목적이었지만 점차 용도가 늘어 현재는 용도에 의해서 과학 위성 통신 위성, 군사 위성, 기상 위성 등으로 나뉜다.

참고로 대한민국 최초의 인공 위성은 1992년 8월 11일에 발사된 우리별 1호. 우리별 1호는 ESA(유럽 우주 기관)이 제작한 “아리안 로켓”에 실어 발사했다.

북한은 스커드 미사일 기술로 자체 제작한 대포동 발사체를 이용하고”광명성 1호”라는 위성을 독자적 발사하려다 실패하고 2009년 4월 5일에는 대포동 2호를 이용하고”광명성 2호”를 발사하려 했으나 또 실패했다.

결국 성공한 것은 2012년 12월 12일 은하 3호에 실린 광명성 3호가 처음. 대포동 2호는 “2단 분리가 안 되아서 실패했다”라는 주장이 언론에 흘렀지만 나중에 그것도 없는 말이 바뀐 분리에 성공했지만 우주 궤도 진입에는 실패했다라고 수정했다.

문제는 이것이 고장 났거나 실종하면 바로 우주 쓰레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저궤도의 경우는 스스로 타게 되지만 문제는 정지 궤도 인공 위성. 이런 인공 위성의 잔해가 위험한 이유는 감속이 일어나지 않고 에너지를 유지하는 우주 공간의 특성 때문이다.

지금도 정지 궤도 위에는 수많은 우주 쓰레기가 날아다니고 있으며 만약 이 중 하나가 인공 위성과 크기의 큰 쓰레기를 파괴한다면 그 파편이 산탄 산탄처럼 확산되면서 엄청난 속도를 가진 또 하나의 우주 쓰레기가 된다.

지금도 다양한 목적의 인공 위성이 발사되고 있어 이대로 그 잔해가 우주에 방치돼서는 결국 미세한 우주 쓰레기의 막이 궤도를 빠르게 회전하는 막이 되어 버려서 우주선이 정지 궤도를 통과하기에는 너무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다.

인류의 우주 진출이 그대로 무산될 수 있는 실질적인 위험한 것이다.

쓰레기 처리 인공 위성을 발사한다는 말은 있지만 아직 한대도 발사되고 있지 않은 현실. 그래서 보통 수명이 거의 끝난 정지 궤도 위성은 남은 추진체를 사용하고 수백 km정도 높은 “묘지 궤도”(Graveyard orbit)에 태우고 폐기한다.

2011년 9월 24일경에는 미국의 낡은 인공 위성이 잔해와 지는 지상에 떨어지고 화제가 되고 있었다.

떨어진 잔해만 6톤 정도로 대기권에 타서 산산조각이 난 잔해 중 큰 것은 100킬로 정도라고. 육지에 내려갈 확률은 1/3200정도로 인구가 많은 유라시아 지역에 떨어진다는 것에서 화제가 됐다.

(관련 기사)2013년 4월 한국의 송·호준이 만든 인공 위성이 국내에서 청계천 상가 부품으로 제작된 카자흐스탄에서 발사됐다.

일명 OSSI프로젝트에서 국가는 물론 기밀 정보로서 취급되던 인공 위성의 인식을 풀기 위해서 폐인처럼 달려가고 5년간 제작하고 이를 누구나 보고 제작할 수 있도록 소스까지 공개했다.

소스 링크 기사, 사실은 송·호준이 만든라는 초소형 위성 정도는 다른 나라에서는 키트도 쉽게 손에 들어가니까 그리 대단한 기술도 아닌 국가 기밀 기술 등과는 더욱 관계가 없어 국내에서도 대학생이 동아리나 과 활동으로 큐브 위성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게 많아 이런 대학 학생 경연 대회도 있다.

그러나 대학 단체, 기관, 국가의 주도가 아닌 개인이 직접 위성을 만드는 개인이 회사에 접촉하고 자비로 위성을 날렸다는 점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2023년 1월 9일 12시 20분부터 13시 20분 사이에 미국의 ERBS인공 위성이 한반도에 추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이 때문에 안전 안내 메시지가 발송됐다.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의 발표 자료이다.

3. 인공위성 분류

3. 인공위성 분류

3. 인공위성 분류3.0.1 군사위성3.0.1 군사위성3.0.1 군사위성3.0.2 민간위성3.0.2 민간위성3.0.2 민간위성3.0.3 기타3.0.3 기타우주 스테이션 일종의 유인 인공 위성. 자세한 내용은 문서를 참조.탐사선의 일부 탐사선은 지구나 다른 천체의 궤도를 돌아 인공 위성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다.

우주 망원경 허블 우주 망원경 빛을 산란시키는 대기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서 만든 것으로, 허블 우주 망원경이 대표적이다.

광학 망원경만 아니라 다양한 전자파 대역의 우주 망원경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지구의 대기권에 숨어 잡을 수 없는 것(X 선, 감마선 등)을 포착하는 망원경 우주 배경 복사를 탐지하거나, 적외선 망원경을 떠올리기도 있다.

실제 정찰 위성과 지구 관측 위성으로도 관측할 대상이 지구일 뿐 우주 망원경과 거의 비슷하다.

최초의 우주 망원경은 1990년 발사된 허블 우주 망원경이다, 2003년 발사된 스피처 우주 망원경, 2009년 발사된 케플러 우주 망원경 등이 있다.

물론 인공 위성이 없는 우주 망원경도 존재한다.

지구에서 떠나고 태양 주위를 돌며 태양을 관측하는 SOHO와 멀리 라그랑 주점에 위치하고 관측할 예정인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 등.큐브 위성체이지만 크기가 매우 작은 위성을 의미한다.

특성상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도 개발 및 운용이 가능하며 특수한 경우에는 고등 학교에서도 개발(이 등급에서는 조립에 가깝다.

)가 가능하다.

미래 창조 과학부에서는 매년 큐브 위성 경연 대회를 주최하는(한국 항공 우주 연구원 주관)전국에서 개발 목표와 계획이 뛰어난 팀을 선정하는 개발비 및 발사비를 지원하고 있다.

3.1. 형상에 따른 분류3.1. 형상에 따른 분류3축 안정화 위성 일반적으로 박스 모양의 본체와 전개 가능한 태양 전지 패널로 구성된 위성이다.

탑재체의 안테나와 센서를 지구로 지향하기 위해서 한축을 기준으로 저속 회전을 제외하고는 관성적으로 안정된 위성이다.

태양 전지 패널은 태양에 대해서 관성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위성 단체에 대해서 반대로 회전한다.

3축 안정화 방식은 센서와 구동기의 성능에 크게 의존하지만 높은 정밀도를 갖는다.

위성의 안정화 때문에 위성 자체를 회전시키는 대신 내부로 회전하는 반작용 휠을 설치하고 회전 강성을 얻어 위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회전 안정 위성을 원통형 본체에 몸통의 축 주위에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자세 안정화를 성취하는 방식이다.

상대적으로 쉽지만 안테나 센서 태양열 집적판이 관성 목표를 지향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다.

3.2. 사이즈에 따른 분류3.2. 사이즈에 따른 분류3.2. 사이즈에 따른 분류종류 질량 대형위성> 1000kg 중형위성 500-1000kg 소형위성 100-500kg 마이크로위성 10-100kg 나노위성 1-10kg 피코위성 0.1-1kg 펨토위성<0.1kg소형 인공 위성4. 운용 궤도4. 운용 궤도저궤도(Low Earth Orbit, LEO)지구를 중심으로 해면 기준으로 약 160km-2,000km의 고도를 가진 궤도이다.

공간 해상도가 높지 않으면 안 되는 정찰 위성과 지구 관측 위성 및 인터넷 통신용 위성은 대부분 저 궤도 위성으로 보면 된다.

국제 우주 정거장도 고도 350킬로의 나지막한 궤도의 저궤도 인공 위성이다.

아리랑 위성, 그리고 스타 링크 등이 저궤도에서 운용되고 있다.

나카 궤도(Medium Earth Orbit, MEO)지구를 중심으로 고도 2,000km부터 35,786km사이의 궤도이다.

GPS NAVSTAR위성이 이 궤도를 이용한다.

정지 전이 궤도(Geostationary Transfer Orbit)정지 궤도에 인공 위성을 위치시키기 위해서 이용하는 궤도이다.

지구 동기 궤도(Geo Synchronous Orbit, GSO)지구를 중심으로 고도 35,786km의 고도를 가진 궤도이다.

이 궤도에서는 인공 위성의 각속도가 지구 자전 속도와 동일하게 된다.

정지 궤도(Geostationary Orbit, GEO)지구 동기 궤도 중 기울기가 0의 형태의 궤도이다.

지표면에서 보았을 때 늘 같은 위치에 인공 위성이 정지하고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특성이 있고 지속적인 관측에 유리하므로 통신 위성이나 기상 위성에 주로 이용되는 궤도이다.

무궁화 위성과 천리안 위성이 이 궤도를 이용한다.

경사 궤도 지구 동기 궤도 중 경사각이 있는 형태로 운영되는 궤도이다.

정지 궤도는 위치에서 떠나지 않기 위해서 Station Keeping를 해야 하지만 이때 소모되는 연료가 많아 남북 방향의 위치 보정을 포기하고 연료를 절약하고 보다 오래 운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지상에서 보면 약 8문자의 궤적이 보인다.

무궁화 1호가 발사 도중 발사체 체 분리에 문제가 생기는 궤도에 위치하기 위해서 연료를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경사 궤도에서 운용하고 수명을 연장했다.

정지 궤도(Geostationary Orbit, GEO)지구 동기 궤도 중 기울기가 0의 형태의 궤도이다.

지표면에서 보았을 때 늘 같은 위치에 인공 위성이 정지하고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특성이 있고 지속적인 관측에 유리하므로 통신 위성이나 기상 위성에 주로 이용되는 궤도이다.

무궁화 위성과 천리안 위성이 이 궤도를 이용한다.

경사 궤도 지구 동기 궤도 중 경사각이 있는 형태로 운영되는 궤도이다.

정지 궤도는 위치에서 떠나지 않기 위해서 Station Keeping를 해야 하지만 이때 소모되는 연료가 많아 남북 방향의 위치 보정을 포기하고 연료를 절약하고 보다 오래 운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지상에서 보면 약 8문자의 궤적이 보인다.

무궁화 1호가 발사 도중 발사체 체 분리에 문제가 생기는 궤도에 위치하기 위해서 연료를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경사 궤도에서 운용하고 수명을 연장했다.

묘지 궤도(Graveyard Orbit)주로 정지 궤도에서 수명을 다한 위성을 폐기시키는 궤도. 다량의 연료를 소모하고 지상에 추락하기보다는 약 300km 높은 고도에서 소량의 연료만 소모하고 다른 위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수명을 다하기 직전에 충분한 연료와 제어권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묘지의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폐기될 위성도 있다.

몰니야(Molniya, оони)궤도, 툰드라 궤도 지구 정지 궤도는 적도에만 위치할 수 있어 극지방에서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개발된 궤도이다.

타원 궤도의 이심률을 크고 극지방에서 장시간 머무를 수 있도록 한 궤도이다.

몰니야 궤도의 원지점은 약 40,000km이며, 근 지점은 약 600km의 타원 고도로 몰니야 궤도는 주기가 12시간이어서 한바퀴 돌때마다 지구 반대편에 위치하게 된다.

툰드라 궤도는 주기를 24시간에 설계하게 한 것이며 지구에서 보면 8자형의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고 궤도(High Earth Orbit, HEO)지구를 중심으로 고도 35,786km보다 높은 고도를 가진 궤도이다.

이 궤도를 도대체 어느 위성이 이용할지 생각하겠지만 핵 폭발을 감지하기 위한 미국의 VELA위성이 사용한다.

극궤도(Polar Orbit)기울기를 90도에 들고 궤도가 극지방을 지나 궤도이다.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위성이 지구를 일주할 때마다 지구가 자전한 만큼 서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지구 전체를 관측할 수 있어 많은 위성이 극궤도로 운영되고 있다.

태양 동기 궤도(Sun Synchronous Orbit, SSO)극 궤도의 한 형태로, 늘 같은 시간에 같은 지점을 통과하도록 설계된 궤도이다.

지구가 완전한 구형이 아닌 타원형에 생겼으며, 위성에 가해지는 중력이 행성 중심에서 조금 적도 쪽으로 치우칠 수 있는 궤도. 쓰러지기 직전의 팽이처럼 궤도가 세차 운동을 하게 되어 궤도면이 지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이 같은 궤도면 변화 주기를 지구 공전 주기와 일치시키면 태양의 관점에서 궤도면이 바뀌지 않는 태양 동기 궤도가 완성된다.

이렇게 운영하면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를 관측할 수 있어 일일 변화를 추적하기 쉽고, 지구 관측 위성을 운용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 태양 전지 패널이 언제나 태양을 볼 수 있도록 운영할 수 있어 전력 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몇몇 태양 동기 궤도 속에서 주로 쓰는 것은 고도 567km궤도 각 97.7도, 혹은 고도 894km궤도 각 99도. 아리랑 위성이 태양 동기 궤도에서 운용되고 있다.

태양 동기 궤도(Sun Synchronous Orbit, SSO)극 궤도의 한 형태로, 늘 같은 시간에 같은 지점을 통과하도록 설계된 궤도이다.

지구가 완전한 구형이 아닌 타원형에 생겼으며, 위성에 가해지는 중력이 행성 중심에서 조금 적도 쪽으로 치우칠 수 있는 궤도. 쓰러지기 직전의 팽이처럼 궤도가 세차 운동을 하게 되어 궤도면이 지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이 같은 궤도면 변화 주기를 지구 공전 주기와 일치시키면 태양의 관점에서 궤도면이 바뀌지 않는 태양 동기 궤도가 완성된다.

이렇게 운영하면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를 관측할 수 있어 일일 변화를 추적하기 쉽고, 지구 관측 위성을 운용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 태양 전지 패널이 언제나 태양을 볼 수 있도록 운영할 수 있어 전력 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몇몇 태양 동기 궤도 속에서 주로 쓰는 것은 고도 567km궤도 각 97.7도, 혹은 고도 894km궤도 각 99도. 아리랑 위성이 태양 동기 궤도에서 운용되고 있다.

라그랑 주점 공중전하는 천체의 중력이 상쇄되는 지점이다.

지구-다 라그랑 주점에는 루나 게이트 웨이 같은 달 탐사를 위한 우주 기지와 달의 통신 중계를 위한 위성이 고려되고 있어 햇빛이 항상 차단되는 지구-태양 라그랑 주점에는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이 L2(라그랑 주점 2)에 있다.

5. 위성의 구성5. 위성의 구성구조형 인공 위성의 골조로 탑재체와 각종 서브 시스템이 장착되는 구조물이다.

여러가지 부품을 내외부에 장착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발사체와 접속하고 발사 하중 및 진동,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전력계 위성에 장착되는 전력원을 공급함으로써 주로 태양 전지 및 고성능 배터리로 구성된다.

인공 위성이 지구를 돌면서 태양이 지구에 숨은 eclipse의 사이나 사용 전력이 태양 전지 패널에서 공급되는 전력 이상인 경우에는 배터리 전력이 사용하며 충분한 전력이 태양 전지에서 공급되면 배터리가 충전된다.

자세 및 궤도 제어계 궤도상에서 위성체의 자세 및 궤도에 책임을 지고 원하는 방향으로 위성을 지향하고 자세를 안정화하고 궤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자세는 일반적으로 위성 체내부의 반작용 휠을 회전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자이로스코프, 시작 래커(별 센서) 같은 센서가 장착된다.

열 제어 일반적으로 지구 궤도에서는 태양 노출 사이에 섭씨 80도, 지구 그림자에서 섭씨 영하 70번의 큰 온도 변화를 체험하게 된다.

또 태양을 직접 노출되는 부분과 반대 측 사이의 온도차가 크기 때문에 방열판, 히터를 통해서 강제로 열을 발산하거나 가열되고 위성 단체 운용에 적합한 온도를 항상 유지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열 차폐 막 열 담요, 코팅, 페인팅도 쓰인다.

추진 장치 인공 위성이 궤도에 진입할 때 위치 유지 및 위성 지향의 같은 자세 제어시에 연료를 이용하고 추진하면서 원하는 궤도와 위치를 유지한다.

미약하지만 공기 저항에 의해서 속도가 떨어지고 태양과 달의 인력에 의해서 섭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궤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엔진을 작동시킨다.

다른 대부분의 부품과 달리 연료는 소모품이어서 인공 위성의 운용 수명은 연료에 가장 크게 의존하고 있다.

원격 측정 및 명령계 지구의 지상국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서브 시스템이다.

또, 위성 위치 결정을 위한 레잉징그 기능도 지원한다.

탑재체 인공 위성의 용도, 목적 자체인 서브 시스템이다.

관측 위성의 자외선 가시 광선, 적외선 등을 관측할 카메라, SAR레이더, 통신 위성 통신 중계기 등이 해당된다.

5.1) 위성의 전력원5.1) 위성의 전력원인공 위성은 전력원은 3~4가지로 분류된다.

우선 살펴볼 태양 전지를 이용한 전력원이 있다.

여기에는 인공 위성이 지구 그림자, 즉 태양 반대편에 있을 때에 대비하여 배터리를 함께 탑재하고 이 2개가 인공 위성의 주요 전력원이다.

태양 전지의 밖에 핵 연료를 올릴 수 있다.

)핵 연료는 잘 생각하게 실제 원자로를 탑재하고 소형 원자력 발전소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는 냉전 시대의 옛 소련에서 자주 사용됐지만 원자로를 이용해서 전력을 충분히 공급하는 정찰 위성으로 지구 표면을 촬영하거나(당연히 전력 소모가 큰)레이저 무기를 가동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위성으로는 코스모스 954호, 코스모스 1420호 등이 있었다.

당연히 위성을 발사한 쪽에도 생각이 있으므로 위성의 수명이 끝나면 탑재한 원자로만 저장 궤도로 불리는 지구 표면 800~1000km높이의 궤도에 태우도록 설계했다.

그러나 코스모스 954호는 1978년 1월 24일 통제 시스템 고장으로 캐나다에 추락하고 10만 평방 킬로미터의 영역을 오염시켰다.

소련은 1970년~1999년 사이에 31기의 BUK원자로와 2기의 TOPAZ를 미국은 1965년에 SNAP-10A을 궤도에 안착시켰다.

또 일반적인 원자로 이외에도 열을 방출하는 방사성 물질()을 이용하여 열전지에서 전원을 만들 경우가 있었다.

이것은 주로 미국에서 사용되며 등이 있다.

6. 국가별 인공위성 목록6. 국가별 인공위성 목록지구궤도, 태양궤도, 달궤도 등 인공위성이나 궤도를 도는 탐사선 목록만 추가하고 궤도를 돌지 않는 탐사선 목록은 추가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6.1. 대한민국6.1. 대한민국6.1. 대한민국대한민국의 인공 위성아리랑위성 시리즈 천리안위성 시리즈 무궁화위성 시리즈 한국별 위성과학기술위성 나로과학위성 NASIS-II 차세대 중형위성 차세대 소형위성 초소형정찰위성 425 정찰위성6.2) 미국6.2) 미국뱅가드 위성 GOES 시리즈 : 미국의 기상 관측 위성이다.

GPS NAVSTAR 위성 이리듐 계획 키홀 위성 허블우주망원경 스피처 우주망원경 케플러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스카이랩6.3) 러시아스푸트니크코스모스 위성 글로너스 살루트 프로그램 밀6.4) 유럽갈릴레오6.5 중국시게-과학 위성 시리즈. 1971년 이후 41기가 발사됐지만 5기가 실패했다.

펑 구름-기상 위성 시리즈 19기가 발사되어 11기가 퇴역했지만 그 하나는 2007년 위성 파괴 미사일 실험으로 파괴됐다.

이 실험이 영화 그라비티의 모티브가 됐다.

카오 팬-지구 관측 위성 시리즈. 29대가 발사되어 1대가 실패했다.

2022년 현재, 나머지는 모두 현역이다.

야오 암-군사 위성 시리즈. 116대가 발사되어 1대가 실패했다.

2022년 현재, 나머지는 모두 현역이다.

호쿠토-중국판 GPS톈궁-우주 정거장6.6 일본해바라기씨 (MTSAT)6.7 다국적INMARSAT 글로벌 스타 국제우주정거장7. 관련 기관 및 단체7. 관련 기관 및 단체내용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버튼을 꾹 눌러주세요내용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버튼을 꾹 눌러주세요내용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버튼을 꾹 눌러주세요https://www.youtube.com/shorts/M1kqAf0QFR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