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골프를 즐기는 아마추어의 사이에서는 프로에서 받는 원 포인트 레슨을 고민하게 됩니다.
각각의 실력이나 상황, 조건 등으로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원 포인트 레슨을 통해서 식견을 넓히고 더 즐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거기서 KOPIS편집기도 준비했습니다.
뮤지컬을 더 즐기고 싶다 초심자를 위한 원 포인트 레슨. 원작 기반의 변형된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한 뮤지컬의 경우 원작의 사건 전개와 극적 요소에 대한 이해가 높을수록 무대 위에 펼쳐지는 다양한 음악과 춤, 다양한 극적인 효과를 입체적으로 즐기면서 더 흥미로운 감상할 수 있습니다.
뮤지컬의 원 포인트 레슨을 따라가면 더 즐겁게 공연 감상!
1월에 무대에 오른 뮤지컬 작품 2편에 대해서,”원작”이 된 소설, 영화를 비교하면서 공연 감상 포인트를 체크하고 있습니다.
첫 레슨,” 지킬 앤 하이드”에 이어2번째 레슨은 영국 웨스트 엔드 팀 방한을 앞둔<플래시 댄스>입니다!
Lesson 2 뮤지컬 <플래시 댄스> <꿈꾸는 소녀>의 춤을 극대화하다
한국에서 1980년대 학생으로 살았던 이들에게 1983년 개봉한 영화 플래시 댄스(Flash dance)는 주제가 What A Feeling과 함께 O.S.T 카세트 테이프의 추억을 선사한 영화입니다.
원작은 어떻게 떠났는가?톰, 헤도 리와 조·에스타 하스의 각본으로 파라마운트 픽처스가 제작한 영화”플래시 댄스”는 공개 초기에 평론가에 혹평했다고 합니다.
뻔한 스토리와 스트립 쇼가 자주 등장한다는 이유 때문이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영화를 본관객의 입소문으로 이른바”대박”을 거두며 1980년의 “댄스 영화”의 대명사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명장면으로 꼽히는 물뿌리기 댄스(출처:블로그슨 부장)가 쏟아지는 물 속에서 관능적인 춤을 추는 모습은 이 영화에서 가장 유명한 수많은 패러디를 낳은 명장면으로 꼽힙니다.
또한 영화에 삽입된 ‘What a Feeling’ ‘Manic’ ‘I Love Rock and Roll’ 등은 빌보드 차트를 점령하고 각종 시상식에 오르내리며 흥행 기록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영화 대본과 나중에 뮤지컬 대본까지 담당했던 톰 헤들리는 1980년대 캐나다 토론토 클럽 무대에서 활동하는 아마추어 댄서들의 춤을 보고 플래시 댄스라는 이름을 직접 지었다고 합니다.
로큰롤 음악을 활용해 추던 춤이 신선하게 다가온 시기였기에 가능했던 창작 배경이었습니다.
원작의 스토리는 어떤가?영화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18세 알렉스는 무용에서 일가를 이루겠다는 꿈을 가진 소녀입니다.
대도시 피츠버그의 낡은 창고를 개조한 집에 머물고 있는 그녀는 낮에는 제철 공장에서 용접공으로 일하고 밤에는 나이트 클럽의 플로어 댄서로 일하면서 무용수로서 미래에 달려갑니다.
제철 공장에서 일하는 주인공 알렉스(출처:블로그 송 부장)우연히 나이트 클럽에서 그녀를 주목한 회사 사장 닉은 알렉스의 재능을 알고 그 꿈을 실현시키는 것을 결심합니다.
이후 물심양면으로 그녀를 돕고 그 사이에 닉과 알렉스의 관계는 사랑하는 사이에 발전합니다.
여기에 프로 댄서가 되겠다는 꿈을 가진 알렉스와 친구 제니의 우정 또한 뭉클한 감동으로 다가옵니다.
클럽에서 공연하는 춤과 피츠버그 거리의 브레이크 댄스를 조합한 자신만의 춤을 개발하던 알렉스는 노력 끝에 재능을 인정받아 꿈을 이루게 됩니다.
영화 속의 피츠버그 뒷골목 브레이크 댄스 장면(출처:블로그 송 부장)영화<플래시 댄스>속의 알렉스의 이야기는 당시 근로자층과 상류 사회의 계급 갈등이 남아 있던 영국 사회에서 큰 공감을 불러일으켰고 뮤지컬 제작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2008년에 영화 대본을 맡은 톰, 헤도 리와 미국 출신의 작가 로버트·케리가 뮤지컬 대본을 쓰고<토요일 밤의 열기>로 유명한 필립스가 안무하고 영국의 데본 지방의 플리머스 극장 로열에서 뮤지컬화합니다.
영화 vs 뮤지컬 어떻게 변했나?1. 주인공 알렉스 캐릭터의 변화
영화 플래시 댄스 속 알렉스로 분한 제니퍼 빌스 영화|청순가련한 여주인공 영화 속 알렉스는 피비린내 나는 독신 여주인공입니다.
재능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 제 실력을 제대로 선보인 적도 없고 인정해준 사람도 없기 때문에 항상 수줍음이 많고 자신감이 없는 모습이었습니다.
정식으로 무용을 배우고 싶지만 고등학교 졸업장이 없어 무용학교에 입학 원서를 내는 것조차 무척 망설이는 모습은 그녀의 순수한 매력을 더욱 돋보이게 했습니다.
뮤지컬”플래시 댄스”의 한 장면(출처:Chad Bremerman)뮤지컬| 씩씩하게 완고한 18세의 무대상 알렉스는 말괄량이에 집착하는 소녀로 등장합니다.
자신의 꿈을 이루려는 더 적극적인 캐릭터가 부각 되었습니다.
또 원작보다 극적인 긴장감을 적극적으로 살리기 위해서 무대 위의 알렉스의 곁에는 영화와 달리 어머니가 등장합니다.
영화 속의 멘토였던 무용 선생님 한나가 알렉스의 어머니로 변신했습니다.
부나시에서 혼자서 세탁소를 운영하며 알렉스가 무용 학교에 들어 자신의 재능을 제대로 살리기를 바라는 열성 어머니입니다.
딸 때문에 나이트 클럽의 의상도 자신이 만드는 정도예요..
2. 더욱 화려해진 댄스 장면끊임없이 자신만의 춤을 개발하는 알렉스(출처:블로그슨 부장) 영화|자신만의 춤을 위한 치열한 노력의 시간, 카메라 앵글은 알렉스가 일상 속에서 자신만의 춤에 도달하기 위해 어떤 고민과 노력을 하는지를 두루 조명했습니다.
영화 속 ‘섹시 댄스’는 카메라 앵글이 주인공 알렉스가 다니는 나이트클럽을 비출 때만 등장하곤 했습니다.
아마 이런 장면 때문에 1983년 한국 개봉 때 청소년 관람 불가 판정이 나왔을 거예요.국내 영화 개봉 당시 포스터(출처: 나무위키) 당시 국내 포스터의 ‘뜨거워, 더 뜨거워’ ‘제니퍼의 새로운 사랑 충격!
’이라는 문구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여주인공의 ‘꿈’보다는 ‘로맨스’에 초점이 맞춰진 것 같습니다.
영화 속 장면을 보다 리얼하게 구현한 뮤지컬의 모습(출처:eventfinda)뮤지컬| 댄서들이 만들어 내는 화려함 그 자체 영화 속 명장면, 수카케 춤은 뮤지컬 무대에서 날것 그대로 구현됩니다.
실제로 천장에서 쏟아지는 물을 맞으며 눈앞에 펼쳐지는 댄스가 스크린을 뚫고 나온 것입니다.
여성 댄서를 대거 활용한 관능적인 춤은 배가되 톡톡 튀는 무대 전환과 결합하고 더 이색 장면이 탄생했습니다.
원작의 제철소 인근 거리에서 브레이크 댄스를 하고 있던 남성들도 무대에 자주 등장하고 바로 음악과 춤으로 관객을 매료하는 뮤지컬이 되었습니다.
영화에 등장한 5곡의 즐거운 음악은 현란한 조명과 춤을 곁들인 뮤지컬 넘버로 삽입되고 나머지 15곡 정도의 뮤지컬 넘버는 1980년대 나이트 클럽의 분위기를 마음껏 북돋우는 록과 팝 음악, 그리고 힙합이 가미되고 자꾸 몸을 떨어요.지금까지 2019년 1월 관객과 만나는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와 ‘플래시 댄스’의 원작과 배경, 내용을 비교하며 살펴봤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알게 된 만큼 더욱 흥미진진하게 두 작품 모두 즐겼으면 좋겠네요. 글 김지원뮤지컬 원포인트 레슨1_’지킬 앤 하이드’ 자주 골프를 즐기는 아마추어들 사이에서는 프로로부터 받는 원포인트 레슨을 고민하게 됩니다.
각자의 실력과… blog.naver.com뮤지컬 원포인트 레슨1_’지킬 앤 하이드’ 자주 골프를 즐기는 아마추어들 사이에서는 프로로부터 받는 원포인트 레슨을 고민하게 됩니다.
각자의 실력과… blog.naver.com뮤지컬 원포인트 레슨1_’지킬 앤 하이드’ 자주 골프를 즐기는 아마추어들 사이에서는 프로로부터 받는 원포인트 레슨을 고민하게 됩니다.
각자의 실력과… blog.naver.com뮤지컬 원포인트 레슨1_’지킬 앤 하이드’ 자주 골프를 즐기는 아마추어들 사이에서는 프로로부터 받는 원포인트 레슨을 고민하게 됩니다.
각자의 실력과… blog.naver.com뮤지컬 플래시 댄스 – 영국 웨스트엔드 오리지널 내한일부 : 2019년01월18일(금)~2019년02월17일(일) 장소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티켓 : VIP석 15만원, R석 12만원, S석 6만원, A석 9만원 상세정보 : https://goo.gl/CPYPKS뮤지컬 플래시 댄스 – 영국 웨스트엔드 오리지널 내한일부 : 2019년01월18일(금)~2019년02월17일(일) 장소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티켓 : VIP석 15만원, R석 12만원, S석 6만원, A석 9만원 상세정보 : https://goo.gl/CPYPKS뮤지컬 플래시 댄스 – 영국 웨스트엔드 오리지널 내한일부 : 2019년01월18일(금)~2019년02월17일(일) 장소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티켓 : VIP석 15만원, R석 12만원, S석 6만원, A석 9만원 상세정보 : https://goo.gl/CPYPKSKOPIS는 공연 산업 통계 시스템에서 문화 체육 관광부 산하의(재)예술 경영 지원 센터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예매처와 시스템을 연계해서 공연 티켓 예매/취소 정보를 매일 자동적으로 수집하고 있으며, 이 자료를 바탕으로 공연을 소개합니다.
집계되는 데이터는 공연 전체를 포함한 통계가 아니라는 점에서 인기 공연이 순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든 공연을 대상으로 한 통계가 아니라는 점 양해 바랍니다.
KOPIS는 보다 정확한 공연 통계 정보 제공을 위해서 노력합니다.